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정보

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 계산 가이드

by OCFY 2025. 8. 24.

 부모급여, 지금 바로 지원 대상신청 방법을 확인하고, 어린이집·아이돌봄 이용 시 발생하는 차액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핵심만 빠르게 보시고,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1) 부모급여란 무엇인가?

 부모급여는 0~1세(0~23개월) 영아 가정에 월 정액으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0세 월 100만 원, 1세 월 50만 원이 기본이며, 가정양육(현금) 또는 어린이집 보육료 바우처, 종일제 아이돌봄 바우처택 1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바우처 금액이 현금 기준금액보다 적으면 차액을 현금으로 함께 받습니다.

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

2) 2025 부모급여 지원 대상·금액

아래 표로 연령별 금액어린이집 이용 시 차액을 한눈에 확인하세요.

[표] 2025 부모급여 금액 및 차액(어린이집/아이돌봄 선택 시)
연령 이용 형태 지급 형태 월 기준금액 바우처 금액 차액(현금)
0세 가정양육 현금 1,000,000원 - -
0세 어린이집 이용 보육료 바우처 + 현금 1,000,000원 567,000원 433,000원
1세 가정양육 현금 500,000원 - -
1세 어린이집 이용 보육료 바우처 500,000원 500,000원 0원

종일제 아이돌봄 이용 시에도 정부지원금이 기준금액보다 적으면 차액을 현금으로 지급합니다(등급·이용시간에 따라 바우처 금액 변동).

3) 어린이집·아이돌봄 이용 시 차액 비교 & 계산법

차액은 아주 간단합니다.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차액 = 부모급여 월 기준금액 − (보육료 바우처 또는 아이돌봄 정부지원금)

  • 예시 1│0세, 어린이집 이용 → 1,000,000 − 567,000 = 433,000원(현금)
  • 예시 2│1세, 어린이집 이용 → 500,000 − 500,000 = 0원 (바우처만 지급)
  • 예시 3│아이돌봄 이용등급별 정부지원금을 확인 후 위 공식을 적용하세요. (예: 정부지원금이 620,000원이라면 1,000,000 − 620,000 = 380,000원)

여러분 가정 상황(어린이집 이용/아이돌봄/가정양육)에 가장 유리한 선택을 하려면, 바우처 금액을 꼭 조회해 보시고 차액을 계산해 보세요. 

4) 부모급여 신청 절차 (온라인·방문)

  1. 온라인 : 복지로 →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급여 신청 > 영유아 > 부모급여(현금)
  2. 온라인(원스톱) : 정부24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에서 출생신고와 함께 신청
  3. 방문 : 아동 주민등록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서류 지참 후 신청

✔ 준비서류(방문): 신분증, 사회보장급여 신청서 등 (대리 신청 시 위임장/가족관계증명서 등 추가)
※ 준비서류를 확인 한 후 신청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5) 지급 일정·유의사항 & 빠른 체크리스트

  • 지급일 : 매월 25일 (주말·공휴일이면 앞당겨 지급)
  • 소급 : 출생일 포함 60일 이내 신청 시 출생월부터 소급 가능(기한 경과 시 신청월부터)
  • 중복 불가 : 부모급여(현금)·보육료 바우처·아이돌봄 바우처 중 택 1 (월 중 변경은 기준일에 따라 일할/익월 적용)
  • 어린이집 이용 시 : 0세는 바우처가 기준금액보다 적어 차액 현금이 함께 입금됩니다.
  • 해외 체류 : 90일 이상 해외체류 시 지급 정지 등 지자체 세부 기준을 확인하세요.

마무리|지금 확인 & 상담 안내

 여러분의 가정에 가장 유리한 선택은 바우처 금액을 확인하고 차액까지 비교해 보는 것입니다. 지금 바로 부모급여 지원 대상·금액을 체크하고, 신청까지 완료해 보세요.


부모급여 FAQ (자주 묻는 질문)

Q1. 부모급여는 누가 받을 수 있나요?
만 0~1세(0~23개월)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이면 소득·재산과 무관하게 신청 가능합니다.
Q2. 부모급여와 영아수당은 무엇이 다른가요?
영아수당(월 70만 원)은 2024년까지, 2025년부터는 부모급여(0세 100만 원·1세 50만 원)로 확대 지급됩니다. 즉, 기존보다 지원금이 늘어나며 어린이집·아이돌봄 이용 시 차액 지급 방식이 적용됩니다.
Q3. 어린이집을 다니면 부모급여는 어떻게 지급되나요?
어린이집 보육료 바우처로 일부 사용되며, 바우처 금액이 부모급여 기준금액보다 적을 경우 그 차액은 현금으로 입금됩니다.
Q4. 부모급여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온라인(복지로, 정부24 행복출산 원스톱) 또는 아동 주민등록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이 가능합니다.
Q5. 부모급여는 언제 지급되나요?
매월 25일에 지급되며, 주말·공휴일일 경우 앞당겨 입금됩니다.
Q6. 부모급여는 출생일에 맞춰 소급 지급되나요?
출생일 포함 60일 이내 신청 시 출생월부터 소급 지급됩니다. 기한을 넘기면 신청한 달부터 지급됩니다.
Q7. 해외에 체류 중인데 부모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90일 이상 해외 체류 시 지급이 정지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사항은 지자체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세요.

 

※ 최신 변동 사항은 복지로·정부24·지자체 공고를 다시 한 번 확인해 주세요.

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
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
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
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최대 100만 원! 부모급여 신청 절차와 차액